후지타 다이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지타 다이라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코치, 감독, 야구 해설가이다. 와카야마 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5년 한신 타이거스에 입단하여 1984년 은퇴할 때까지 유격수와 1루수로 활약하며 통산 2000안타를 달성했다. 1981년에는 수위타자 타이틀을 획득했고, 베스트 나인 7회, 다이아몬드 글러브상 3회를 수상했다. 은퇴 후에는 아사히 방송 해설위원, 한신 타이거스 2군 감독, 1군 감독을 역임했으며, 독립 리그 감독으로도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와카야마현 출신 야구 선수 - 요시미 유지
요시미 유지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투수로서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지바 롯데 마린스, 한신 타이거스에서 활약했으며 2002년 신인왕 경쟁과 월간 MVP를 수상했고, 2015년부터는 DeNA의 타격 투수로 활동했다. - 와카야마현 출신 야구 선수 - 후쿠시 히로아키
후쿠시 히로아키는 일본 프로 야구와 KBO 리그에서 투수로 활약하며 1980년 일본 최고 승률, 1983년 KBO 리그 30승 및 골든 글러브를 수상했으나, 은퇴 후 마약 투약 혐의로 구속되는 불운을 겪은 일본 돗토리현 출신 야구 선수이자 코치이다. - 일본 프로 야구 유격수 - 세이케 마사카즈
세이케 마사카즈는 한신, 세이부, 야쿠르트에서 선수 생활을 하고 세이부 시절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으며 은퇴 후 여러 팀에서 코치 및 감독을 거쳐 현재 하나마우이 야구부 코치로 활동 중인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야구 지도자이다. - 일본 프로 야구 유격수 - 요시다 요시오
요시다 요시오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한신 타이거스의 주전 유격수로 활약하며 뛰어난 수비와 공격 능력을 인정받아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었고, 은퇴 후에는 한신 타이거스 감독을 맡아 일본 시리즈 우승을 이끌었으며 프랑스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도 활동했다. - 일본 프로 야구 1루수 - 맷 데이비드슨
맷 데이비드슨은 미국, 일본 프로 야구를 거쳐 2024년 KBO 리그 NC 다이노스에 입단하여 타율 0.306, 46홈런, 119타점을 기록하며 KBO 홈런상을 수상한 야구 선수이다. - 일본 프로 야구 1루수 - 마쓰바라 마코토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 마쓰바라 마코토는 사이타마현 출신으로 포수와 내야수로 활약하며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의 전신팀인 다이요 웨일스의 간판 타자로 이름을 알렸고, 은퇴 후에는 여러 팀에서 코치를 역임하고 야구 해설가로도 활동했다.
후지타 다이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후지타 다이라 |
출생일 | 1947년 10월 19일 |
출생지 | 일본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 |
사망일 | 알 수 없음 |
포지션 | 내야수 / 감독 |
타석 | 좌투 |
투구 | 우투 |
선수 경력 | |
데뷔 리그 | NPB |
데뷔일 | 1966년 4월 10일 |
데뷔 팀 | 한신 타이거스 |
최종 출장일 | 1984년 9월 20일 |
최종 팀 | 한신 타이거스 |
선수 활동 | 한신 타이거스 (1966년~1984년) |
감독 및 코치 경력 | |
감독 | 한신 타이거스 (1996년) |
코치 | 한신 타이거스 (1981년~1984년, 1995년) 사가와 큐빙 (연식 야구) 후쿠이 미라클 엘리펀츠 (2008년) 기슈 레인저스 (2009년) |
통계 (NPB) | |
타율 | 0.286 |
안타 | 2,064 |
홈런 | 207 |
타점 | 802 |
도루 | 85 |
수상 내역 | |
베스트 나인 | 7회 (1967년, 1969년~1971년, 1973년~1974년, 1981년) |
다이아몬드 글러브상 | 3회 (1973년, 1975년, 1981년) |
컴백 선수상 | 1981년 |
올스타 선정 | 8회 (1967년, 1969년, 1971년, 1973년~1976년, 1981년) |
신체 정보 | |
키 | 177cm |
몸무게 | 81kg |
2. 선수 시절
소년 시절, 후지타는 타구가 너무 멀리 날아가 공을 잃어버리는 일이 많아 "왼쪽으로 쳐라"는 말을 들었다.[3] 시와카야마 상업고등학교에서 하세가와 오사무 감독에게 철저히 기본기를 배웠고,[3] 유격수로 활약했다. 2학년 때인 1964년 봄의 선발 대회에 출전했으나 1회전에서 가나자와고등학교에 완봉패했다. 같은 해 여름 고시엔 현 예선 준결승에서 가이난고등학교 야마시타 요시노리 등에게 막혀 대패했고, 추계 긴키 대회 준결승에서는 이쿠에이고등학교 스즈키 게이지에게 완봉패했다. 3학년 때인 1965년 선발 대회에 2년 연속 출전했다.
1965년 선발 대회에서 오카모토 기헤이(스미토모 금속)의 호투로 1회전에서 에이스 야스다 타케시를 보유한 고쿠라 고등학교를 완봉하는 등 승리했다. 2회전에서는 주고쿠 상업고등학교를 상대로 선발 대회 41년 만에 두 번째로[4] 개인 1경기 2홈런을 기록했다. 마이니치 신문 마쓰오 토시하루 기자는 "천재적"이라 평하며 요기 베라, 스탠 뮤지얼에 비유했다.[3] 준결승에서 다카마쓰 상업고등학교 고사카 토시히코를 9회에 무너뜨려 신승했고, 결승에서 오카야마토 상업고등학교 히라마쓰 마사지와 오카모토의 투수전 끝에 연장 13회말 끝내기 패배로 준우승했다.[5] 이 경기에서 히라마쓰에게 2안타를 쳐 대회 통산 20루타 신기록을 달성했다.[6]
같은 해 여름 현 예선 준준결승에서 난부 고등학교 우에다 지로(후에 프로 동료)에게 막혀 패퇴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 메이지 대학에 진학할 예정이었지만, 1965년 제1회 드래프트 2순위로 한신 타이거스에 입단했다. 이 일로 한신과 메이지대는 10여 년 후 화해할 때까지 사이가 좋지 않았으며, 한신 팬이었던 호시노 센이치 지명도 할 수 없었다.
와카야마 시립 와카야마 고등학교(현재 와카야마 시립 와카야마 고등학교) 졸업 후 1965년 프로 야구 드래프트 2순위로 한신 타이거스에 입단,[3] 1년 차인 1966년부터 1군에서 뛰었다.[3] 1967년 요시다 요시오를 2루로 밀어내고 유격수 자리를 차지, 1970년대를 대표하는 간판 유격수로 활약했다. 주로 1번 타자와 3번 타자로 뛰면서 '빈타·한신'이라 불린 한신 타선의 중심 타자로 활약했다. 다부치 고이치 등 장거리 타자 부진으로 결장한 1971년에는 28홈런을 기록했다. 아름다운 폼으로 정교한 타격을 선보였지만, 찬스에서 초구에 내야 플라이를 치는 경우가 많았고, 첫 타석에서 안타가 나오면 맹타상을 기록하는 징크스도 있었다. 1970년대 에나쓰 유타카, 이케다 준이치, 다니무라 도모히로와 함께 ‘'''젊은 범사천왕'''’(若虎四天王일본어)으로 불렸다.
1978년 208타석 연속 무삼진 일본 기록을 세웠고(1997년 오릭스 블루웨이브 이치로가 216타석으로 경신),[11][12] 1979년 1루수로 전향했다. 같은 해 4월 17일 야쿠르트 스왈로스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1루 수비 도중 왼쪽 허벅지 근육 파열 부상을 입었는데,[13] 경과가 좋지 않아 당시 감독 돈 블레이저는 “일본 의사는 뭘 하고 있는가? 미국이라면 간단하게 낫는다!”라고 격노했다. 같은 해 7월 미국 로스앤젤레스 외과 수술 전문 치료소에서 재활훈련을 받으며 부상으로 시즌을 보냈다.[14] 이후 다리에 불안을 안고도 1980년 복귀, 1981년 타율 3할 5푼 8리로 수위타자 타이틀과 컴백상을 동시에 수상했다. 1980년부터 타격 코치를 겸임했다.
1982년 8월 31일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전(요코하마 스타디움)에서 이시바시 미쓰구가 3루수 플라이를 놓쳐 와시야 와타루 3루심이 파울 판정을 내리자, 시마노 이쿠오 코치와 시바타 다케시 코치에게 폭행당하는 사건(요코하마 스타디움 심판 집단 폭행 사건)이 발생했다.
1983년 개인 통산 2000안타를 달성하며 한신 토박이 타자 최초로 명구회에 가입했다.[17] 1984년 팀 신기록인 2010경기 출전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19][20] 도이 고로, 후지이 에이지와 ‘한신의 세 기인’으로 불릴 만큼 과묵하고 점잖은 성격이었다. 한신에서 활약하며 구단, 코칭스태프, 선수 간 내분이 잦았지만, 도이와 함께 거의 관여하지 않았다. 한신 리그 우승(1964년) 2년 뒤 입단, 19년간 주력 선수로 활약했지만, 끝내 우승을 경험하지 못했다. 통산 2000안타 달성 선수 중 리그 우승 경험 없는 선수는 후지타와 도이 마사히로뿐이다.
2. 1. 프로 입단 전
소년 시절에는 타구가 너무 멀리 날아가 공을 잃어버리는 일이 많아 "왼쪽으로 쳐라"는 말을 들었다[3]. 시와카야마 상업고등학교에서는 하세가와 오사무 감독으로부터 철저하게 기본기를 익혔으며[3], 유격수로서 활약했다. 2학년 때인 1964년 봄의 선발 대회에 출전했지만 1회전에서 가나자와고등학교에게 완봉패를 당했다. 같은 해 여름의 고시엔 현 예선 준결승에서 가이난고등학교의 야마시타 요시노리 등에게 막혀 대패했고, 추계 긴키 대회 준결승에서는 이쿠에이고등학교의 스즈키 게이지에게 완봉패를 당했다. 하지만 3학년 때인 1965년 선발 대회에 2년 연속 출전했다.대회에서는 오카모토 기헤이(스미토모 금속)의 호투로 1회전에서 에이스 야스다 타케시를 보유한 고쿠라 고등학교를 완봉하는 등 승리했다. 2회전에서는 주고쿠 상업고등학교를 상대로 선발 대회 41년 만에 두 번째로[4] 개인 1경기 2홈런을 기록했다. 마이니치 신문의 마쓰오 토시하루 기자는 "천재적"이라고 평하며 요기 베라, 스탠 뮤지얼에 비유했다[3]. 준결승에서는 다카마쓰 상업고등학교의 고사카 토시히코를 9회에 무너뜨려 신승했고, 결승에서는 오카야마토 상업고등학교의 히라마쓰 마사지와 오카모토의 투수전 끝에 연장 13회말 끝내기 패배를 당해 준우승했다[5]. 이 경기에서 히라마쓰에게 2안타를 쳐 대회 통산 20루타의 신기록을 달성했다[6].
같은 해 여름 현 예선 준준결승에서 후에 프로에서 동료가 되는 난부 고등학교의 우에다 지로에게 막혀 패퇴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 메이지 대학에 진학할 예정이었지만, 같은 해의 제1회 드래프트 2순위로 한신 타이거스에 입단했다. 이 일로 한신과 메이지대는 10여 년 후 화해할 때까지 사이가 좋지 않았으며, 한신 팬이었던 호시노 센이치의 지명도 할 수 없었을 정도였다.
2. 2. 한신 타이거스 시절
와카야마 시립 와카야마 상업고등학교(현재의 와카야마 시립 와카야마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5년 프로 야구 드래프트 2순위로 한신 타이거스에 입단했다.[3] 1년 차인 1966년부터 1군에서 뛰었고,[3] 1967년에는 요시다 요시오를 2루로 밀어내고 유격수 자리를 차지하는 등 1970년대를 대표하는 간판 유격수로 활약했다.주로 1번 타자와 3번 타자로 뛰면서 '빈타·한신'이라고 불린 한신 타선의 중심 타자로 활약했다. 다부치 고이치 등 장거리 타자들이 부진으로 결장한 1971년에는 28홈런을 기록하기도 했다. 아름다운 폼으로 정교한 타격을 선보였지만, 찬스에서 초구에 내야 플라이를 치는 경우가 많았고, 첫 타석에서 안타가 나오면 맹타상을 기록하는 징크스도 있었다.
1970년대에는 에나쓰 유타카, 이케다 준이치, 다니무라 도모히로와 함께 ‘'''젊은 범사천왕'''’(若虎四天王일본어)으로 불렸다.
1978년 208타석 연속 무삼진이라는 당시 일본 기록을 세웠고(1997년 오릭스 블루웨이브의 이치로가 216타석으로 경신),[11][12] 1979년에는 1루수로 전향했다. 같은 해 4월 17일 야쿠르트 스왈로스전(메이지 진구 야구장)에서 1루 수비 도중 왼쪽 허벅지 근육 파열 부상을 입었는데,[13] 경과가 좋지 않아 당시 감독 돈 블레이저는 “일본 의사는 뭘 하고 있는가? 미국이라면 간단하게 낫는다!”라고 격노했다. 같은 해 7월 미국으로 건너가 로스앤젤레스의 외과 수술 전문 치료소에서 재활훈련을 받으며 부상으로 시즌을 보냈다.[14]
이후 다리에 불안을 안고도 1980년에 복귀했고, 1981년에는 타율 3할 5푼 8리를 기록하여 수위타자 타이틀과 컴백상을 동시에 수상했다. 1980년부터는 타격 코치를 겸임했다.
1982년 8월 31일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전(요코하마 스타디움)에서 이시바시 미쓰구가 3루수 플라이를 놓쳐 와시야 와타루 3루심이 파울 판정을 내리자, 와시야 심판이 시마노 이쿠오 코치와 시바타 다케시 코치에게 폭행당하는 사건(요코하마 스타디움 심판 집단 폭행 사건)이 발생했다.
1983년 개인 통산 2000안타를 달성하며 한신 토박이 타자 최초로 명구회에 가입했다.[17] 1984년 팀 신기록인 2010경기 출전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19][20] 도이 고로, 후지이 에이지와 함께 ‘한신의 세 기인’으로 불릴 만큼 과묵하고 점잖은 성격이었다. 한신에서 활약하며 구단, 코칭스태프, 선수 간 내분이 잦았지만, 도이와 함께 거의 관여하지 않았다. 한신이 리그 우승(1964년)을 차지한 2년 뒤에 입단하여 19년간 주력 선수로 활약했지만, 끝내 우승을 경험하지 못했다. 통산 2000안타를 달성한 선수 중 리그 우승 경험이 없는 선수는 후지타와 도이 마사히로뿐이다.
3. 은퇴 후
은퇴 후 후지타 다이라는 아사히 방송 텔레비전(1985년 - 1994년), 라디오 해설자 및 선 텔레비전 해설자, 데일리 스포츠 평론가로 활동했다. 해설자 취임 첫 해에는 백스크린 3연발 당시 텔레비전 해설을 맡았고, 21년 만의 우승 장면은 라디오 해설로 참여했다. 1987년 시즌 종료 후 무라야마 미노루 감독으로부터 코치 제의를 받았으나, 구단의 의향으로 실현되지 못했다.[24]
1995년, 나카무라 카츠히로 감독의 요청으로 10년 만에 한신 2군 감독으로 복귀했다.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자택이 반파된 후지타는 선수 기숙사 "호풍장"에서 젊은 선수들과 함께 생활하며 식사 개선을 구단에 요구했다.[25] 같은 해 7월에는 신조 츠요시의 정좌 사건이 있었는데, 이는 지각하는 선수들이 많아 선수들끼리 규정을 만들도록 제안했고, 선수들이 지각한 시간만큼 정좌하기로 결정하여 신조가 이를 실행한 것뿐이라고 밝혔다.[26][27][28]
나카무라 감독의 중도 휴양에 따라 1군 감독 대행을 맡았고, 올스타전 중에는 염천 속에서 50분간 대시를 부과했다. 올스타전 후에는 젊은 선수들을 기용하며 팀 분위기를 바꾸려 했으나, 17승 36패로 성적이 좋지 않았다.[33] 시즌 종료 후 정식 감독으로 승격했지만, 1996년 12월 계약 갱신에서 신조가 구단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며 트레이드를 희망했고, 은퇴까지 선언하는 등 갈등이 있었다.[34]
감독 승격 후에는 참모진을 꾸리고[36] 오릭스의 히라츠카 카츠히로를 금전 트레이드로 영입하여 팀 재건에 힘썼으나,[37] 글렌 데이비스를 비롯한 일부 주력 선수들과의 대립,[39] 악성 팬들의 난동,[40] 구단 프런트와의 불화[41] 등 여러 문제에 직면했다.
1996년 9월 12일 요미우리전에서는 더블 스틸 작전 실패로 인해 코칭 스태프와의 갈등이 표면화되었다.[35] 결국 같은 날 구단 이사회가 후지타의 감독 해임을 승인했고,[41] 후지타는 해임을 불복하고 쿠마 슌지로 오너와의 면회를 요구했지만, 결국 다음 날인 9월 13일 오후에 해임을 수락했다.[41][42][43][44][45][46] 당시 한신 상무였던 노자키 카츠요시는 후지타 감독의 평판이 좋지 않았고, 팬들과 언론의 비난이 거셌다고 회고했다.[41]
해임 이후 1997년부터는 선 텔레비전 해설자 및 데일리 스포츠 평론가로 복귀했고, 2005년에는 무라타 쵸지가 설립한 "쓰시마 마사카리 드림스"에 참가했다. 2008년에는 BC 리그・후쿠이 미라클 엘리펀츠 초대 감독으로 취임했으나, 전후기 모두 최하위에 그쳐 시즌 종료 후 퇴임했다. 재임 중 급여 일부가 지급되지 않았다며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52] 2009년에는 간사이 독립 리그・키슈 레인저스 초대 감독으로 취임했지만, 역시 성적 부진으로 퇴임했다. 2017년 9월 20일, 한신 타이거스에서 2,000안타를 달성한 토리타니 타카시를 축하하며, 고시엔에서 기념 사진 플라크를 증정했다.[53]
3. 1. 해설가 시절
아사히 방송 텔레비전(1985년 - 1994년)과 라디오 해설자, 선 텔레비전 해설자, 데일리 스포츠 평론가로 활동했다. 해설자 취임 첫 해에는 백스크린 3연발 당시 텔레비전 해설을 맡았고, 21년 만의 우승 장면은 라디오 해설로 참여했다. 1987년 시즌 종료 후 무라야마 미노루 감독으로부터 코치 입각 권유를 받았으나, 구단의 의향으로 실현되지 못했다.[24]1995년 2군 감독으로 한신에 복귀하여 젊은 선수들의 식사 개선을 요구했고,[25] 신조 츠요시의 정좌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26] 올스타전 이후 1군 감독 대행을 맡아 젊은 선수들을 기용하며 팀 분위기를 바꾸려 했으나, 성적은 좋지 않았다.[33] 시즌 종료 후 정식 감독으로 승격했지만, 신조와의 갈등[34] 등 여러 문제에 직면했다.
감독 승격 후 참모진을 꾸리고[36] 오릭스의 히라츠카 카츠히로를 영입하는 등 팀 재건에 힘썼으나,[37] 선수들과의 대립,[39] 팬들의 비난,[40] 구단 프런트와의 불화[41] 등으로 1996년 9월 12일 감독직에서 해임되었다.[41]
해임 이후 1997년부터 다시 해설자 및 평론가로 활동했고, 2005년에는 무라타 쵸지가 설립한 "쓰시마 마사카리 드림스"에 참가했다. 2008년에는 BC 리그・후쿠이 미라클 엘리펀츠 초대 감독을 맡았으나 성적 부진으로 퇴임했고,[52] 2009년에는 간사이 독립 리그・키슈 레인저스 초대 감독을 맡았으나 역시 성적 부진으로 퇴임했다.
3. 2. 한신 타이거스 코치, 감독 시절
1985년부터 1994년까지 아사히 방송의 야구 해설위원으로 활동하면서 1985년 4월 17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에 랜디 바스, 가케후 마사유키, 오카다 아키노부 등의 일명 ‘백 스크린 3연발’을 기록할 당시에는 TV 해설자로 나와 중계했고, 한신 타이거스가 21년 만에 리그 우승을 하는 장면에도 라디오에 출연하여 해설을 맡았다.[24]나카무라 가쓰히로 감독의 요청으로 1995년에는 한신 타이거스의 2군 감독을 역임했고, 1월 17일에 발생한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자택이 반파되어 선수 기숙사인 호풍장에서 젊은 선수들과 함께 생활하며 식사 개선을 구단에 요구하기도 했다.[25] 나카무라 감독의 시즌 도중 휴양에 따라 1995년 올스타전 이후에는 1군 감독 대행을 맡았다.
1996년에는 감독으로 승격되었다. 타협을 허락하지 않는 자세와 지도력으로 한신의 재건에 본격적으로 착수했지만, 하세가와 헤이조를 모방한 ‘오니헤이 감독’(鬼平監督|오니헤이 감독일본어)이라고 불릴 정도의 열혈 지도가 주력 선수(특히 1995년 오프에는 신조 쓰요시가 트레이드 지원 발언을 하고 있다)나 프런트의 반감을 샀다. 정식 감독이 된 1996년 시즌에도 주전 선수들의 성적 부진과 팀 성적이 신통치 않을 정도의 악재가 겹치면서 침체에 빠졌다.
같은 해 9월 12일 요미우리전에서 0대 3으로 리드당한 7회 1사 1, 2루 상황에서 더블 스틸 사인을 냈으나, 선수 간의 의사소통 부족으로 작전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았다. 이 사건으로 인해 후지타 감독과 코칭 스태프 간의 갈등이 표면화되었다.[35]
결국 1996년 9월 12일에 후지타는 급거 구단 사무소에 불려가 미요시 가즈히코 구단 사장으로부터 감독 해임 통보를 받았다. 후지타는 이에 불복하여 구마 슌지로 구단주와의 면담을 요구했지만, 결국 다음 날인 9월 13일 오후에 해임을 수락했다. 당시 한신 상무였던 노자키 가츠요시는 후지타 감독의 평판이 좋지 않았고, 팬들과 언론의 비난이 거셌다고 회고했다.[41]
감독 해임 후 1997년부터는 선 TV의 해설 위원과 데일리 스포츠의 해설 위원을 맡았다.
3. 3. 독립 리그 감독 시절
1995년 나카무라 가쓰히로 감독의 요청으로 한신 타이거스의 2군 감독을 맡았다. 나카무라 감독이 시즌 도중 휴양에 들어가면서 1995년 올스타전 이후에는 1군 감독 대행을 맡았고, 이듬해인 1996년에는 정식 감독으로 승격했다.후지타는 타협을 허락하지 않는 자세와 지도력으로 한신 재건에 힘썼지만, '오니헤이 감독'(鬼平監督일본어)이라 불릴 정도의 열혈 지도는 주력 선수나 프런트의 반감을 샀다.[37] 특히 1995년 오프 시즌에는 신조 쓰요시가 트레이드를 요구하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34]
1996년 시즌에도 주전 선수들의 부진과 팀 성적 부진이 겹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1996년 9월 12일, 후지타는 구단 사무실로 불려가 미요시 가즈히코 구단 사장으로부터 해임 통보를 받았다. 후지타는 이에 불복하고 구마 슌지로 구단주와의 면담을 요구했지만, 면담은 다음 날 새벽까지 이어졌고 결국 해임을 수락했다.[41][42][43][44][45][46]
후지타는 연습에 지각한 신조를 정좌시켰다는 보도에 대해, 당시 지각하는 선수가 많아 선수들끼리 규정을 만들도록 제안했고, 선수들이 지각한 시간만큼 정좌하기로 결정하여 신조가 이를 실행한 것뿐이라고 해명했다.[26][27][28] 기숙사의 식사 개선을 요구하고, 벤치에 과일을 두는 등 팀의 기초를 다졌다는 평가도 있다.[25]
한신 감독에서 물러난 후, 선 TV와 데일리 스포츠의 해설 위원으로 활동했고, 무라타 조지가 설립한 야구 교실에 참가하기도 했다.
2008년에는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팀인 후쿠이 미라클 엘리펀츠의 감독으로 취임했지만, 전기와 후기 리그 모두 최하위로 시즌을 마감한 후 감독직에서 물러났다.[52] 재임 중 급여 일부가 지급되지 않았다며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2009년에는 간사이 독립 리그 팀인 기슈 레인저스의 감독을 맡았지만, 2009년 시즌을 끝으로 퇴임했다.
4. 상세 정보
1965년 프로 야구 드래프트 2순위로 한신 타이거스에 입단한 후지타 다이라는 1966년부터 1군에서 뛰기 시작했다. 1967년 요시다 요시오를 2루로 밀어내고 주전 유격수 자리를 꿰찼으며, 이후 1970년대 한신을 대표하는 간판 유격수로 활약했다.
주로 1번 타자와 3번 타자로 활약하며 '빈타 한신' 타선을 이끌었다. 1971년에는 다부치 고이치 등의 부진으로 28개의 홈런을 기록하기도 했다. 1978년에는 208타석 연속 무삼진이라는 당시 일본 기록을 세웠고, 1979년 1루수로 전향했다. 같은 해 부상을 당해 미국에서 재활 훈련을 받기도 했다.[24]
1980년 복귀 후, 1981년에는 타율 3할 5푼 8리로 수위타자 타이틀과 컴백상을 동시에 수상했다. 1983년에는 개인 통산 2000안타를 달성하며 한신 토박이 타자 최초로 명구회에 가입했다. 1984년 현역에서 은퇴할 때까지 팀 신기록인 2010경기에 출전했다.[24]
통산 19년간 2010경기에 출전하여 7882타수 7217타석, 854득점, 2064안타, 355 2루타, 50 3루타, 207홈런, 3140루타, 802타점, 85도루, 68도루실패, 44희생번트, 50희생플라이, 526볼넷, 49고의사구, 45사구, 679삼진, 94병살타, 타율 .286, 출루율 .336, 장타율 .435, OPS .771을 기록했다.
연도 | 나이 | 소속 리그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출루율 | 사사구 | OPS |
---|---|---|---|---|---|---|---|---|---|---|---|
1966 | 18 | 센트럴 리그 | - | - | - | - | - | - | - | - | - |
1967 | 19 | 9위 | 1위 | 1위 | 1위 | - | - | - | - | ||
1968 | 20 | - | - | 1위 | 8위 | - | - | - | - | - | |
1969 | 21 | 6위 | 2위 | 2위 | 4위 | - | - | - | - | 9위 | |
1970 | 22 | 6위 | 9위 | 2위 | 7위 | - | 10위 | - | - | - | |
1971 | 23 | 10위 | 7위 | - | 2위 | 4위 | 8위 | 7위 | 10위 | 6위 | |
1972 | 24 | - | 2위 | 1위 | 2위 | - | 10위 | - | 8위 | - | |
1973 | 25 | 7위 | 2위 | 2위 | 6위 | 9위 | 7위 | - | - | - | |
1974 | 26 | 7위 | - | - | - | - | - | 8위 | - | 7위 | |
1975 | 27 | 9위 | - | - | 7위 | - | - | - | - | - | |
1976 | 28 | - | - | - | 5위 | - | - | - | - | - | |
1977 | 29 | - | 10위 | 9위 | 10위 | - | - | - | - | - | |
1978 | 30 | - | 3위 | 10위 | 8위 | - | - | - | - | - | |
1979 | 31 | - | - | - | - | - | - | - | - | - | |
1980 | 32 | - | - | - | - | - | - | - | - | - | |
1981 | 33 | 1위 | - | 4위 | - | - | - | 3위 | - | 7위 | |
1982 | 34 | 10위 | - | - | - | - | - | - | - | - | |
1983 | 35 | - | - | - | - | - | - | - | - | - | |
1984 | 36 | - | - | - | - | - | - | - | - | - | |
- '-'는 10위 미만 (타율, 출루율, OPS는 규정 타석 미달의 경우도 '-'로 표기)
; 수상 및 타이틀 경력
- 수위 타자: 1회 (1981년)
- 최다 안타: 1회 (1967년) * 1967년 최다 안타는 당시 연맹 표창이 없었으며, 1994년부터 표창.
- 베스트 나인: 7회 (1967년, 1969년 ~ 1971년, 1973년 ~ 1974년, 1981년)
- 다이아몬드 글러브상: 3회 (유격수 부문:1973년, 1975년, 1루수 부문:1981년)
- 컴백상: 1회 (1981년)
- 208타석 연속 무삼진 (1978년 4월 30일 ~ 7월 5일)
- 리그 최다 2루타: 3회 (센트럴 리그 최다 타이)
- 올스타전 출장: 8회 (1967년, 1969년, 1971년, 1973년 ~ 1976년, 1981년)
; 개인 기록
- 첫 출장·첫 선발 출장: 1966년 4월 10일, 대 산케이 아톰즈 3차전(한신 고시엔 구장), 2번·유격수로 선발 출장
- 첫 안타: 1966년 4월 26일, 대 산케이 아톰즈 4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1회 초에 시부야 세이지로부터 번트 안타
- 첫 타점: 1966년 5월 13일, 대 산케이 아톰즈 7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4회 초에 이시도 시로쿠로부터 우익선으로 결승 2점 적시 2루타
- 첫 홈런: 1966년 7월 9일, 대 히로시마 카프 10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 5회 초에 류 겐이치로부터 솔로
- 100홈런: 1972년 10월 3일, 대 주니치 드래건스 25차전(한신 고시엔 구장), 4회 말에 츠치야 히로시로부터 우월 선제 솔로 ※역대 72번째
- 1000안타: 1973년 10월 10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24차전(고라쿠엔 구장), 8회 초에 쿠라타 마코토로부터 중전 안타 ※역대 84번째
- 1000경기 출장: 1974년 5월 30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11차전(한신 고시엔 구장), 1번·유격수로 선발 출장 ※역대 171번째
- 150홈런: 1976년 5월 23일, 대 야쿠르트 스왈로스 8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8회 초에 와타나베 타카히로로부터 우월 솔로 ※역대 42번째
- 1500안타: 1978년 4월 25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3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 9회 초에 에가와 유타카로부터 좌익선 2루타 ※역대 34번째
- 1500경기 출장: 1978년 9월 9일, 대 야쿠르트 스왈로스 23차전(한신 고시엔 구장), 3번·1루수로 선발 출장 ※역대 59번째
- 300 2루타: 1980년 9월 24일, 대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23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2회 초에 미야모토 시로로부터 우익선 2점 적시 2루타 ※역대 17번째
- 200홈런: 1982년 6월 8일, 대 야쿠르트 스왈로스 9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3회 초에 마츠오카 히로시로부터 우월 역전 결승 3점 홈런 ※역대 36번째
- 3000루타: 1982년 8월 28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19차전(한신 고시엔 구장), 7회 말에 오가와 쿠니카즈로부터 우전 안타 ※역대 22번째
- 2000안타: 1983년 5월 3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4차전(고라쿠엔 구장), 9회 초에 스미 미츠오로부터 좌중간 안타 ※역대 15번째
- 350 2루타: 1983년 7월 29일, 대 주니치 드래건스 14차전(한신 고시엔 구장), 8회 말에 코마츠 타츠오로부터 우익선 2루타 ※역대 12번째
- 2000경기 출장: 1984년 8월 25일, 대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22차전(한신 고시엔 구장), 9회 초에 1루수로 출장 ※역대 20번째
; 감독으로서의 팀 성적
연도 | 구단 | 순위 | 경기 | 승리 | 패전 | 무승부 | 승률 | 게임 차 | 팀 홈런 | 팀 타율 | 팀 방어율 | 나이 |
---|---|---|---|---|---|---|---|---|---|---|---|---|
1995년 | 한신 | 6위 | 130 | 46 | 84 | 0 | .354 | 36.0 | 88 | .244 | 3.83 | 48세 |
1996년 | 한신 | 6위 | 130 | 54 | 76 | 0 | .415 | 23.0 | 89 | .245 | 4.12 | 49세 |
통산 | 170 | 65 | 105 | 0 | .382 | |||||||
colspan="11" style="font-size:x-small;" | |
4. 1. 수상 및 타이틀 경력
상 | 횟수 | 연도 |
---|---|---|
수위 타자 | 1회 | 1981년 |
최다 안타 | 1회 | 1967년 |
- 1967년 최다 안타는 당시 연맹 표창이 없었으며, 1994년부터 표창.
4. 2. 개인 기록
수상 |
---|
첫 기록 |
---|
주요 기록 |
---|
4. 3. 등번호
4. 4. 연도별 타격 성적
타격 성적 | 수비 성적 | ||||||||||||||||||||||||||||
---|---|---|---|---|---|---|---|---|---|---|---|---|---|---|---|---|---|---|---|---|---|---|---|---|---|---|---|---|---|
연도 | 소속 팀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자 | 희생번트 | 희생플라이 | 볼넷 | 고의사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수비 위치 | 경기 | 실책 | 수비율 | 포구 |
1966 | 한신 | 68 | 166 | 153 | 9 | 36 | 7 | 2 | 1 | 50 | 13 | 1 | 3 | 4 | 0 | 9 | 0 | 0 | 28 | 0 | .235 | .278 | .327 | .605 | 3루수, 유격수 | 39 | - | - | - |
1967 | 131 | 561 | 530 | 67 | 154 | 30 | 10 | 16 | 252 | 44 | 7 | 6 | 1 | 2 | 24 | 1 | 4 | 65 | 7 | .291 | .325 | .475 | .800 | 유격수 | - | - | - | - | |
1968 | 129 | 560 | 516 | 66 | 124 | 30 | 4 | 11 | 195 | 32 | 7 | 7 | 6 | 3 | 28 | 1 | 7 | 61 | 8 | .240 | .287 | .378 | .665 | 유격수 | - | - | - | - | |
1969 | 130 | 556 | 526 | 62 | 154 | 25 | 3 | 19 | 242 | 54 | 12 | 7 | 0 | 2 | 27 | 2 | 1 | 57 | 0 | .293 | .327 | .460 | .787 | 유격수 | - | - | - | - | |
1970 | 121 | 486 | 443 | 48 | 122 | 26 | 3 | 9 | 181 | 51 | 5 | 5 | 2 | 7 | 33 | 0 | 1 | 53 | 6 | .275 | .322 | .409 | .731 | 유격수, 3루수 | - | - | - | - | |
1971 | 122 | 509 | 460 | 64 | 125 | 11 | 4 | 28 | 228 | 61 | 12 | 4 | 0 | 3 | 43 | 7 | 3 | 71 | 3 | .272 | .336 | .496 | .832 | 유격수 | - | - | - | - | |
1972 | 130 | 580 | 522 | 64 | 144 | 27 | 4 | 18 | 233 | 64 | 4 | 11 | 1 | 0 | 54 | 7 | 3 | 67 | 11 | .276 | .347 | .446 | .794 | 유격수 | - | - | - | - | |
1973 | 130 | 569 | 519 | 73 | 146 | 27 | 2 | 17 | 228 | 59 | 8 | 2 | 10 | 2 | 36 | 5 | 2 | 53 | 6 | .281 | .329 | .439 | .768 | 유격수 | - | - | - | - | |
1974 | 100 | 417 | 374 | 51 | 113 | 21 | 2 | 16 | 186 | 47 | 6 | 2 | 1 | 4 | 30 | 3 | 8 | 20 | 5 | .302 | .363 | .497 | .860 | 유격수 | - | - | - | - | |
1975 | 102 | 429 | 386 | 42 | 112 | 18 | 3 | 9 | 163 | 56 | 1 | 2 | 3 | 9 | 29 | 0 | 2 | 23 | 6 | .290 | .336 | .422 | .758 | 유격수 | - | - | - | - | |
1976 | 103 | 433 | 395 | 56 | 110 | 18 | 4 | 12 | 172 | 39 | 5 | 4 | 1 | 5 | 30 | 2 | 2 | 23 | 5 | .278 | .329 | .435 | .764 | 유격수 | - | - | - | - | |
1977 | 119 | 514 | 473 | 62 | 142 | 23 | 3 | 11 | 204 | 43 | 6 | 6 | 4 | 0 | 35 | 2 | 2 | 35 | 5 | .300 | .351 | .431 | .782 | 유격수 | - | - | - | - | |
1978 | 130 | 575 | 522 | 77 | 157 | 26 | 4 | 13 | 230 | 58 | 4 | 3 | 9 | 2 | 37 | 2 | 5 | 18 | 7 | .301 | .352 | .441 | .792 | 유격수, 1루수 | - | - | - | - | |
1979 | 18 | 43 | 40 | 1 | 11 | 0 | 0 | 0 | 11 | 3 | 3 | 0 | 0 | 1 | 2 | 0 | 0 | 5 | 0 | .275 | .302 | .275 | .577 | 1루수 | - | - | - | - | |
1980 | 103 | 313 | 280 | 22 | 85 | 11 | 0 | 6 | 114 | 38 | 0 | 3 | 0 | 5 | 24 | 3 | 4 | 22 | 3 | .304 | .361 | .407 | .768 | 1루수 | - | - | - | - | |
1981 | 107 | 403 | 369 | 41 | 132 | 24 | 0 | 11 | 189 | 70 | 2 | 2 | 0 | 2 | 32 | 5 | 0 | 21 | 6 | .358 | .407 | .512 | .919 | 1루수 | - | - | - | - | |
1982 | 116 | 439 | 403 | 30 | 117 | 18 | 2 | 7 | 160 | 40 | 1 | 0 | 1 | 2 | 32 | 6 | 1 | 29 | 10 | .290 | .342 | .397 | .739 | 1루수 | - | - | - | - | |
1983 | 90 | 283 | 265 | 15 | 73 | 12 | 0 | 2 | 91 | 24 | 1 | 1 | 0 | 1 | 17 | 2 | 0 | 24 | 5 | .275 | .318 | .343 | .661 | 1루수 | - | - | - | - | |
1984 | 61 | 46 | 41 | 4 | 7 | 1 | 0 | 1 | 11 | 6 | 0 | 0 | 1 | 0 | 4 | 1 | 0 | 4 | 1 | .171 | .244 | .268 | .513 | 1루수 | - | - | - | - | |
통산: 19년 | 2010 | 7882 | 7217 | 854 | 2064 | 355 | 50 | 207 | 3140 | 802 | 85 | 68 | 44 | 50 | 526 | 49 | 45 | 679 | 94 | .286 | .336 | .435 | .771 | - | - | - | - | - |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1965년 프로 야구 드래프트 2순위로 한신 타이거스에 입단한 후지타 다이라는 1966년부터 1군에서 뛰기 시작했다. 1967년에는 요시다 요시오를 2루로 밀어내고 주전 유격수 자리를 꿰찼으며, 이후 1970년대 한신을 대표하는 간판 유격수로 활약했다.
주로 1번 타자와 3번 타자로 활약하며 '빈타 한신' 타선을 이끌었다. 1971년에는 다부치 고이치 등의 부진으로 28개의 홈런을 기록하기도 했다. 1978년에는 208타석 연속 무삼진이라는 당시 일본 기록을 세웠고, 1979년에는 1루수로 전향했다. 같은 해 부상을 당해 미국에서 재활 훈련을 받기도 했다.
1980년 복귀 후, 1981년에는 타율 3할 5푼 8리로 수위타자 타이틀과 컴백상을 동시에 수상했다. 1983년에는 개인 통산 2000안타를 달성하며 한신 토박이 타자 최초로 명구회에 가입했다. 1984년 현역에서 은퇴할 때까지 팀 신기록인 2010경기에 출전했다.
통산 19년간 2010경기에 출전하여 7882타수 7217타석, 854득점, 2064안타, 355 2루타, 50 3루타, 207홈런, 3140루타, 802타점, 85도루, 68도루실패, 44희생번트, 50희생플라이, 526볼넷, 49고의사구, 45사구, 679삼진, 94병살타, 타율 .286, 출루율 .336, 장타율 .435, OPS .771을 기록했다.
연도 | 나이 | 소속 리그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출루율 | 사사구 | OPS |
---|---|---|---|---|---|---|---|---|---|---|---|
1966 | 18 | 센트럴 리그 | - | - | - | - | - | - | - | - | - |
1967 | 19 | 9위 | 1위 | 1위 | 1위 | - | - | - | - | ||
1968 | 20 | - | - | 1위 | 8위 | - | - | - | - | - | |
1969 | 21 | 6위 | 2위 | 2위 | 4위 | - | - | - | - | 9위 | |
1970 | 22 | 6위 | 9위 | 2위 | 7위 | - | 10위 | - | - | - | |
1971 | 23 | 10위 | 7위 | - | 2위 | 4위 | 8위 | 7위 | 10위 | 6위 | |
1972 | 24 | - | 2위 | 1위 | 2위 | - | 10위 | - | 8위 | - | |
1973 | 25 | 7위 | 2위 | 2위 | 6위 | 9위 | 7위 | - | - | - | |
1974 | 26 | 7위 | - | - | - | - | - | 8위 | - | 7위 | |
1975 | 27 | 9위 | - | - | 7위 | - | - | - | - | - | |
1976 | 28 | - | - | - | 5위 | - | - | - | - | - | |
1977 | 29 | - | 10위 | 9위 | 10위 | - | - | - | - | - | |
1978 | 30 | - | 3위 | 10위 | 8위 | - | - | - | - | - | |
1979 | 31 | - | - | - | - | - | - | - | - | - | |
1980 | 32 | - | - | - | - | - | - | - | - | - | |
1981 | 33 | 1위 | - | 4위 | - | - | - | 3위 | - | 7위 | |
1982 | 34 | 10위 | - | - | - | - | - | - | - | - | |
1983 | 35 | - | - | - | - | - | - | - | - | - | |
1984 | 36 | - | - | - | - | - | - | - | - | - | |
- '-'는 10위 미만 (타율, 출루율, OPS는 규정 타석 미달의 경우도 '-'로 표기)
- 베스트 나인: 7회 (1967년, 1969년 - 1971년, 1973년 - 1974년, 1981년)
- 다이아몬드 글러브상: 3회 (유격수 부문:1973년, 1975년, 1루수 부문:1981년)
- 컴백상: 1회 (1981년)
; 첫 기록
- 첫 출장·첫 선발 출장: 1966년 4월 10일, 대 산케이 아톰즈 3차전(한신 고시엔 구장), 2번·유격수로 선발 출장
- 첫 안타: 1966년 4월 26일, 대 산케이 아톰즈 4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1회 초에 시부야 세이지로부터 번트 안타
- 첫 타점: 1966년 5월 13일, 대 산케이 아톰즈 7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4회 초에 이시도 시로쿠로부터 우익선으로 결승 2점 적시 2루타
- 첫 홈런: 1966년 7월 9일, 대 히로시마 카프 10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 5회 초에 류 켄이치로부터 솔로
; 주요 기록
- 100홈런: 1972년 10월 3일, 대 주니치 드래건스 25차전(한신 고시엔 구장), 4회 말에 츠치야 히로시로부터 우월 선제 솔로 ※역대 72번째
- 1000안타: 1973년 10월 10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24차전(고라쿠엔 구장), 8회 초에 쿠라타 마코토로부터 중전 안타 ※역대 84번째
- 1000경기 출장: 1974년 5월 30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11차전(한신 고시엔 구장), 1번·유격수로 선발 출장 ※역대 171번째
- 150홈런: 1976년 5월 23일, 대 야쿠르트 스왈로스 8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8회 초에 와타나베 타카히로로부터 우월 솔로 ※역대 42번째
- 1500안타: 1978년 4월 25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3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 9회 초에 에가와 유타카로부터 좌익선 2루타 ※역대 34번째
- 1500경기 출장: 1978년 9월 9일, 대 야쿠르트 스왈로스 23차전(한신 고시엔 구장), 3번·1루수로 선발 출장 ※역대 59번째
- 300 2루타: 1980년 9월 24일, 대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23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2회 초에 미야모토 시로로부터 우익선 2점 적시 2루타 ※역대 17번째
- 200홈런: 1982년 6월 8일, 대 야쿠르트 스왈로스 9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3회 초에 마츠오카 히로시로부터 우월 역전 결승 3점 홈런 ※역대 36번째
- 3000루타: 1982년 8월 28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19차전(한신 고시엔 구장), 7회 말에 오가와 쿠니카즈로부터 우전 안타 ※역대 22번째
- 2000안타: 1983년 5월 3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4차전(고라쿠엔 구장), 9회 초에 스미 미츠오로부터 좌중간 안타 ※역대 15번째
- 350 2루타: 1983년 7월 29일, 대 주니치 드래건스 14차전(한신 고시엔 구장), 8회 말에 코마츠 타츠오로부터 우익선 2루타 ※역대 12번째
- 2000경기 출장: 1984년 8월 25일, 대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22차전(한신 고시엔 구장), 9회 초에 1루수로 출장 ※역대 20번째
; 기타 기록
- 208타석 연속 무삼진 (1978년 4월 30일 - 7월 5일)
- 리그 최다 2루타: 3회 (센트럴 리그 최다 타이)
- 올스타전 출장: 8회 (1967년, 1969년, 1971년, 1973년 - 1976년, 1981년)
4. 5. 감독으로서의 팀 성적
홈런타율
방어율